본문 바로가기

꺼리찾아서

진지한 아슬함과 긴장감이 녹아있는 전통줄타기

 
강릉단오제에서 보게 된 줄타기공연에 등장한 분은 최연소 인간문화재로 알려진 줄타기 명인 '김대균'님이었다. 시작하기 전에 고사를 지내는 진지함과 줄과 함께한 세상사를 소리형식으로 풀어내는 신명을 곁들인 탓인지 여느 줄타기와는 사뭇다른 느낌이 들어서 참고하고픈 글을 찾았다.(참고/줄타기보존회및 문화재청) 

줄타기의 공연형식은 놀이마당 양편에 말뚝을 각각 두 개씩 박고, 작수목 두벌을 세우고 줄을 걸쳐 맨 다음 줄 가운데에 고사상을 차린다. 삼현육각(대금.해금.겹피리.북.장고) 즉 악사는 줄 밑에 자리를 깔고 앉아서 연주를 하고 줄광대와 어릿광대는 줄에 오르기 전에 줄고사를 지내고 연주에 맞추어 줄 위에 오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타기는 조선시대에 두 계통으로 나뉘어 발달했다.
하나는 주로 양반층을 위해 공연되었던 광대줄타기로 순수하게 줄타기로만 구성되어 기술의 종류나 솜씨에서 뛰어났으며, 다른 하나는 남사당패의 어름줄타기로 서민들을 위해 공연되었던 만큼 재담이나 오락성이 뛰어났다.

줄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3m쯤이고, 길이는 10m쯤 된다. 우리나라의 줄타기는 외국의 줄타기와 달리 줄만 타는 몸기술에 머무르지 않고, 노래와 재담을 곁들여 줄타는 사람과 구경꾼이 함께 어우러진 놀이판을 이끄는데 그 의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타기는 주로 훈련이 잘 된 남자가 했지만 때로는 여자가 타는 수도 있었다. 줄 위에 올라갈 때는 손에 부채나 수건을 들었는데 동작이 멋있어 보이기 위한 것도 있었지만,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사용되었다.
줄을 탈 때에는 아래에 있는 잽이들이 장구, 피리, 해금 등으로 흥을 돋우어 광대들의 동작을 율동적이고 날렵하게 만들었고, 줄타기의 기교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여 가지로, 줄 위에서 걷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동작이며 뒤로 걸어가기, 줄 위에서 한 발로 뛰기, 걸터앉고 드러눕기도 하며 때로는 재주를 넘고 떨어지는 척 해서 구경꾼들을 놀라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타기를 할 때에는 단순히 줄만 타지 않고, 노래를 부르거나 파계승과 타락한 양반을 풍자한 이야기로 익살을 떨고, 바보짓이나 곱추짓, 여자의 화장하는 모습들을 흉내내 구경꾼들을 웃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객들을 향하여 신명나는 입담을 풀은 후에 줄위를 거니는데 참으로 아슬아슬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에서 떨어지는 것처럼 줄을 출렁이며 행동을 바꾸는 모습을 보고 나는 식은땀이 다 흘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타기는 중요 무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었지만 그 기예능 보유자는 1988년에 작고하고 말았다. 다행히 준보유자 김대균(金大均:1967~)이 보유자이신 김영철(金永哲:1920~1988)선생에게 줄타기를 마지막 재인청 창우이셨던 이동안 (李東安: 1906~1995)명인에게 판줄의 재담과 타령을 전수받아 일제시대때 사라진 판줄의 원형을 이동안 명인과 함께 1991년 대한민국 국악제에서 복원해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문화재 김대균~ 그의 나이 41세.
인간문화재라기에는 너무나 젊은 나이라 놀랐으며, 잊혀지고 있던 줄타기에 관심을 보이게 된 것은 영화 '왕의 남자'로 인함인데... 그 줄타기와는 좀 다름을 느꼈는데... 역시나 다른 것이었다. 남사당패의 줄타기 어름하고는 계보가 다른, 전통 줄타기로 어릿광대와 삼현육각과 함께하는 줄광대는 타령과 함께 어우러지는 줄타기 놀음이라고 한다.
아홉살 어린 나이에 김영철 예능보유자 아래서 줄타기를 배우며 우리 전통 줄타기의 원형 복원에 힘쓰며 그가 걸어온 길이 힘들었어도 앞으로의 길에는 그가 꿈꾸는 판줄전통이 복원되기를 기대하듯이 지금보다도 더 화려한 꽃을 피우기를 빌어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위에서 행하는 동작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양한 표정속에 우리네 세상사가 다 읽혀지는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취되어 진지한 사색에 자꾸만 빠져들었다.


◎ 줄타기의 역사적 유래

줄타기가 언제부터 연행되었는지 정확한 시대는 알 수 없으나 고구려(高句麗) 고분벽화(古墳壁畵)에 창우(倡優)들의 가무백희(歌舞百戱)가 보이고 신라(新羅)의 팔관회(八關會)에도 창우들의 가무백희가 있었으니 그 속에 줄타기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한다.
팔관회의 전통을 잇는 조선시대(朝鮮時代) 나례(儺禮)에 줄타기가 있었다는 것은 조선 성종때의 학자 성현(成俔)이 지은 구나시(驅儺詩)에 走索還同飛燕輕(날아가는 제비와 같이 가볍게 줄 위에서 돌아간다)이라는 시귀에서 알 수 있다.

줄타기는 줄광대라 이르는 줄타기 연희자가 두어 길이 높이로 공중에 맨 줄 위에서 삼현육각의 반주에 맞추어 재담도 하고 소리도 하고 춤도 추어가며 갖가지 잔노릇을 부려 연희하는 놀음이다.
줄타기는 1976년에 중요 무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었고 문헌에는 승도(繩度), 주색(走索), 색상재(索上才), 답색희(沓索戱), 고무항( 舞恒), 희승(戱繩), 항희(恒戱)등으로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색을 하다가 보게 된 사진 한장.
감히 내가 담지 못한 동작중의 사진으로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줄타기를 보긴 했으나 다른 위치에 있는 카메라에 담긴 이 사진은 '별이 내리는 풍호'라는 카페에서 가져오게 된 결정적인 이유ㅋㅋㅋ 숨은그림처럼 있는 내모습을 발견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