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여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과 '정림사지박물관' 견학후기 아이들 교과서에 백제문화재로 '정림사지 5층석탑'과 '무령왕릉'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여 직접 보지 못한 아쉬움이 늘 남아있었다. 나의 학창시절에도... 성인이 되어서도... 거리가 멀다는 이유를 핑계로 발길을 옮기지 못했던 한심함을 넋두리삼아 금년 여름에 우연히 기회가 마련되어 빠듯한 시간탓에 한곳이라도 돌아보게 되었던 장소가 부여의 정림사지였다. 이곳에는 국보 제9호의 정림사지 5층석탑과 현대에 지은 정림사지박물관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기대가 크면 실망이 크다고... 교과서에 덩그라니 실려있던 국보 제9호의 정림사지 5층석탑...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시선인 아낙에게는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 중에 백제문화의 정취는 우아하고 세련되고 여성스럽다로 배웠고, 또한 현재 아이들의 학습도우미로 일을 하면서.. 더보기
불에 타고 마모된 특이한 모습의 석불좌상 거리가 멀어서 엄두를 내지 못했던... 백제문화의 정취를 처음으로 느껴본 금년 여름, 부여를 방문하면서 아주 쪼꿈 살짝 엿보게 되었는데 백제는 절은 없고 'OO사지'가 많음을 정림사지박물관에 나열된 안내를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망한 나라의 비애처럼...^^ 아이들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부여의 정림사지 5층석탑에 대한 막연한 동경(?)으로 나섰던 이곳에서 뜻밖의 석불좌상을 보았습니다. 복원작업 중인 이곳에서 대웅전이 위치했을 장소에 대웅전이라고 할 수 없는 건물(현판이 없음)안을 들여다 보았더니 뜻밖에도 덩그라니 형체가 분명치 않은 모습의 꽤 높은 석불좌상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불에 타고 심하게 마모되어 대좌와 불상이 형체만 남았고, 머리와 갓은 후대에 복원한 것이라는 안내문. 안내판의 글을 읽기 전.. 더보기
낙화암 길목에서 유난히 많이 들리던 새소리의 정체 잔뜩 지푸린 날에 비는 오락가락했지만 부소산성(국가사적 제5호)을 둘러보기로 했습니다. 산성 입구인 사비문을 통과하니 넓은 공간 한쪽에는 두레박을 이용하는 우물이 있어 옛정취를 느껴볼 수 있었고, 솔향기가 그윽한 길은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깊고도 향긋한 숨고르기를 하도록 유혹했습니다^^ 삼충사 백제말기 의자왕때 충신 세사람으로 꼽히는 성충, 흥수, 계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이 사당까지 들어오는 데는 외삼문, 내삼문이라는 문을 두군데나 거쳐야 하는 점이 좀 달랐습니다. 영일루 부소산의 동쪽 산봉우리를 말하는데 원래 이곳에는 영일대가 있어서 백제시대 왕과 귀족들이 계룡산의 연천봉에서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며 하루의 일과를 계획하던 곳이라 전하며, 1964년 5월 홍산에 있던 조선시대의 관아문을 옮겨.. 더보기
무너질듯 불안해 보이는 낙화암 정상의 백화정 지난 주말에 남편과 부여를 다녀온 후, 이번주엔 괜스레 바빠서 글을 제대로 올리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찾아주신 고운님께 감사드립니다^^ 백마강 구드래 나룻터로 향하는 배를 타고 지나가면서 높은 절벽으로 보이는 낙화암과 잔잔한 물결을 만드는 백마강을 보노라니 멸망하는 백제의 여인으로 적군에게 잡혀 치욕스런 삶을 사느니 차라리 스스로 죽음으로 정절을 지키고자했던 백제여인들의 절박했던 순간이 상상되어 코끝이 시큰했습니다. 낙화암 전설처럼 전해져 오기는 백제의 마지막왕이었던 의자왕이 거느렸던 수많은 궁녀들이 고운한복 치마로 얼굴을 가리며 뛰어내리던 모습이 꽃잎같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유명한 낙화암. 배에서 내려 부소산성에 있는 낙화암을 보니 제 상상하고는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커다란 바위가 절벽으로.. 더보기
서동요의 전설이 깃든 궁남지의 다양한 연꽃 ★ 무왕인 서동요의 전설이 깃든 궁남지(서동공원) 사적 135호인 부여의 궁남지는 신라의 선화공주와의 사랑으로 유명한 백제 무왕(634년)이 왕궁의 남쪽 별궁에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연못이다. 가운데 신선이 산다는 의미를 담은 작은 섬에 포룡정이라는 정자가 있고 포룡정까지 목교가 놓여있으며 연못 주변에는 버드나무가 심어져 있어 옛 정취를 맛볼 수 있는 이곳에는 서동(무왕)의 어머니와 관련된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경주 안압지보다 40년이나 먼저 생긴 연못으로《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궁남지의 조경(造景)기술이 일본에 건너가 일본 조경의 원류(源流)가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 백제의 상징 연꽃은 산꼭대기나 마른땅에서 못하고 진흙땅에서만 핀다. 하지만 흙탕물 한송이 연꽃이 피어날 때 더러운 흙탕물은 자.. 더보기